첫번째
2022.02.24. 현지시각기준 am 5:50
푸틴의 특별군사작전 선포 이후에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불법 침공이 시작됨.
현재(2024년 8월) 러시아는 개전 초기 부터 우크라이나 돈바스 지역을 점령중임.
우크라이나군이 기습적으로 러시아 본토 쿠르스크를 침공하여 점령(2024.08.06. ~ 현재)하고 있음. 이를 통해 서방의 관심을 받고 서방이 계속 우크라이나의 무기 지원, 인도적 지원, 경제적 지원을 할 수 있도록 러시아 본토를 공격했다고 볼 수 있음.
러시아의 전쟁 목표
1. 자국민 보호(러시아의 안전 보장: NATO가 러시아 지역으로 확장하지 않는 것)
2. 우크라이나의 탈나치화 및 비무장화
3. 우크라이나의 NATO 가입 반대
4. 러시아가 점령중인 우크라이나 4개 지역의 불가역적인 인정
러시아는 이 전쟁을 아주 빠른 시간 안네 속전속결로 승리로 끝낼 수 있으리라 생각 했지만 현실은 그렇지 않음.
우크라이나의 목표
1. 전제조건: "영토는 전쟁 협상조건이 될 수 없다"
2. 러시아가 점령한 4개 지역 외에 2014년 러시아가 병합한 크림자치공화국, 세바스토폴시 회복
두번째
2023.10.07. 현지시각기준 am 6:30
유대교 휴일 마지막 날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는 기습적으로 이스라엘을 공격함.
하마스의 전쟁 목표
1. 이스라엘-사우디아라비아 관계 정상화 차단
2. 중동지역 평화무드 반대
3. 팔레스타인 주권 확보
현재 상황은 이스라엘이 2023년 10월부터 본격적으로 지상작전을 감행함으로써 어느 정도 하마스의 상당 부분을 궤멸함.
또한 하마스의 주요 은신처인 지하 터널을 점령해 나가고 있는 상황임.
위 두 전쟁으로 인해 사실상 신냉전 시대가 부활한 것임.
'강의 자료 > 안보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쟁의 패러다임 변화 (0) | 2025.03.15 |
---|---|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원하는 이유 (0) | 2025.03.15 |
핵폭탄의 위력 (0) | 2024.09.30 |
핵우산 (0) | 2024.09.30 |
국가 비상사태가 발생할 경우 공직자의 역할과 자세 (2) | 2024.09.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