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로스테 효과
그림이나 영상을 보다가 보면 그림 안에 같은 그림이 있거나 영상 안에 같은 영상이 있는 경우를 보게 된다. 이러한 것을 드로스테 효과라고 한다.
드로스테 효과는 미장아빔의 예라고 할 수 있는다.
미장아빔(mise en abyme)은 그림 속에 그림이 있는 것과 같은 것을 말한다.
미장아빔
‘그림 속의 그림’, ‘이야기 속의 이야기’, ‘극중극’처럼 서사의 복합적 의미 효과를 만들어 내는 격자 구조 기법.
형태분석 [mise en abyme]
<다음 국어사전>
https://dic.daum.net/word/view.do?wordid=kkw000536832&supid=kku010353364
드로스테 효과는 네덜란드의 코코아 브랜드인 드로스테(Droste)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드로스테 코코아통의 그림을 살펴 보면 그림에 한 여인이 들고 있는 쟁반 위에 드로스테 코코아통과 컵이 있다. 쟁반 위의 드로스테 코코아통은 원래의 그림과 같은 그림이다. 이것은 그림 내에서 계속 반복되는 것이다. 그렇지만 우리가 볼 수 있는 것은 그림의 해상도가 허용되는 범위 안에서만 반복되는 그림을 볼 수 있다.
https://ko.wikipedia.org/wiki/%EB%93%9C%EB%A1%9C%EC%8A%A4%ED%85%8C_%ED%9A%A8%EA%B3%BC
드로스테 효과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얀 미세트(1861-1931)가 디자인한 오리지널 1904년 드로스테 코코아 통 드로스테 효과(Droste effect, 네덜란드어 발음: [ˈdrɔstə])는 미술계에서 미장아빔의 예로 알려
ko.wikipedia.org
일본 영화 중 "드로스테 저편의 우리들"이라는 영화는 드로스테 효과를 표현한 작품이다. 드로스테 효과를 재미있게 영상으로 옮긴 작품으로 정해진 미래를 사는 것이 아닌 미래는 스스로가 만들어 가는 것이라는 잘 표현한 작품입니다. 드로스테 효과와 관련하여 참조할만 합니다.
'영화 속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 생에 가장 아름다운 일주일(2005) - 영화 속 대사 (0) | 2025.04.27 |
---|---|
폭락(2025) - Stay hungry, Stay foolish (0) | 2025.04.24 |
맵고 뜨겁게(2024) - 복싱 (0) | 2024.08.05 |
서치아웃(2020) - 에레쉬키갈(Ereshkigal) (0) | 2024.07.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