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수리력이란?
수리력의 사전적 의미: 수학의 이론이나 이치를 이해하고 계산을 잘하는 능력을 말함.
박선화외(2020)의 수리력: 일생생활과 학습 상황 등에서 수학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수학적 정보 및 아이디어를 이해하고 이를 활용하여 계산, 문제해결, 의사소통하는 능력
수리력(Numeracy)이 가장 먼저 사용된 것은 1959년 영국의 Crowther 보고서에 문해력(Literacy)에 대응되는 개념으로 처음 사용됨. Crowther는 당시 영국의 중앙교육자문위원회의 의장이었음.
4차 산업 혁명 시대의 수리력은 수를 읽고, 쓰고, 보고, 듣고, 말하고, 매체로 표현하고 코딩하는 능력이 중요함.
수리력의 구성 요소: 맥락, 내용, 행동
<수리력의 구성 요소>
영역 | 하위 영역 |
맥락 | 일상생활 학습 상황 |
내용(수학적 정보 및 아이디어) | 수와 연산 도형과 측정 변화와 관계 자료와 가능성 |
행동(기능 및 수행) | 이해 계산 문제해결 의사소통 |
728x90
반응형
'강의 자료 > 수학과 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학생들의 수리력 향상을 위한 효과적인 지도 방법은? (0) | 2025.06.29 |
---|---|
해외에서의 수리력 교육과정 사례 (6) | 2025.06.29 |
제1차 기초학력 보장 종합계획(2023~2027)의 수리력 (0) | 2025.06.29 |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 강조하는 '수리' 소양을 '수리력'이라고 볼 수 있을까요? (0) | 2025.06.29 |
수학과 수리력의 차이점 (0) | 2025.06.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