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전체 글

(303)
학생들의 수리력 향상을 위한 효과적인 지도 방법은? 학생들의 수리력 향상을 위한 효과적인 지도 방법은? 1. 학생들이 오개념 및 오류를 가지고 있는지 진단2. 오개념 및 오류를 파악한 후 어떻게 지도할 지에 대한 구체적인 지도 전략 구상 그러므로 오개념 및 오류를 파악하고 학생에게 맞춤형 지도 전략을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해외에서의 수리력 교육과정 사례 해외에서의 수리력 교육과정 사례 호주의 수리력 교육과정국가 교육과정의 7가지의 일반 역량 중 하나로 수리력을 포함하고 있음. 수리력은 다양한 상황에서 학생들에게 요구되는 지식, 기능, 행동, 성향을 포괄하며 수학 교과 뿐만 아니라 역사, 지리학 등 타 교과에서도 길러질 수 있음.수리력의 핵심 아이디어- 수로 어림하고 계산하기- 패턴과 관계를 인식하고 사용하기- 분수, 소수, 백분율, 비와 비율의 사용- 공간 추론의 사용- 통계 정보 해석하기- 측정의 사용 영국의 수리력 교육과정- 영국에서는 수리력이 모든 교과에서 길러져야 함을 강조함.- 유창한 산술 계산 능력을 문제에 적용하고, 측정을 이해하고 활용하며, 과제의 양을 예측하고 확인- 기하적 이해와 대수적 이해 내용을 적용하고, 확률 개념을 위험이나 불확..
제1차 기초학력 보장 종합계획(2023~2027)의 수리력 제1차 기초학력 보장 종합계획(2023~2027)의 수리력 제1차 기초학력 보장 종합계획(2023~2027)정책 비전: 모든 학생의 기초 학력을 보장하는 국가 교육책임제 실현추진 목표- 2025년 까지 AI기반 기초학력 진단 및 지원체계 구축- 2027년 까지 국가-지역-학교 연계 기초학력 안전망 완성 제1차 기초학력 보장 종합계획(2023~2027)의 수리력1. 복잡한 수학적 표현과 반복적 계산 활동 제한2. 학습 수준 및 범위 재구조화 예) 수리력이 부족한 학생에게 초1~2학년군 수학의 '여덟', '마흔아홉', '첫째' 등과 같이 한글 쓰기 지양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 강조하는 '수리' 소양을 '수리력'이라고 볼 수 있을까요? Q: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 강조하는 '수리' 소양을 '수리력'이라고 볼 수 있을까요? 2022 개정교육과정 - '수리' 소양다양한 상황에서 수리적 정보와 표현 및 사고 방법을 이해, 해석, 사용하여 문제해결, 추론, 의사소통하는 능력 A: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 강조하는 '수리' 소양은 '수리력'과 일맥상통한다.
수리력이란? 수리력이란? 수리력의 사전적 의미: 수학의 이론이나 이치를 이해하고 계산을 잘하는 능력을 말함. 박선화외(2020)의 수리력: 일생생활과 학습 상황 등에서 수학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수학적 정보 및 아이디어를 이해하고 이를 활용하여 계산, 문제해결, 의사소통하는 능력 수리력(Numeracy)이 가장 먼저 사용된 것은 1959년 영국의 Crowther 보고서에 문해력(Literacy)에 대응되는 개념으로 처음 사용됨. Crowther는 당시 영국의 중앙교육자문위원회의 의장이었음. 4차 산업 혁명 시대의 수리력은 수를 읽고, 쓰고, 보고, 듣고, 말하고, 매체로 표현하고 코딩하는 능력이 중요함. 수리력의 구성 요소: 맥락, 내용, 행동 영역하위 영역맥락일상생활학습 상황내용(수학적 정보 및 아이디어)수와..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