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238) 썸네일형 리스트형 북한의 사이버부대 북한의 사이버부대: 정찰총국 산하 전자정찰국에서 해킹, 사이버테러 담당북한의 사이버부대는 2016년 기준 1000명이 넘음. 북한이 이렇게 사이버 해킹을 하는 근본 목적은 핵개발을 위한 자금 조달이다. 김정은은 "사이버전은 핵미사일과 함께 우리 인민 군대에 무자비한 타격능력을 담보하는 '만능의 보검'이다."라고 말함. 북한의 3대 악법 북한의 3대 악법 1. 반동사상 문화배격법2. 청년문화 교양법3. 평양문화어 보호법 북한은 우리나라 드라마를 보거나 우리나라 말씨를 쓰기만 해도 감옥에 보낸다든지 공개처형을 하고 있다. 이것은 북한 김정은 정권이 흔들리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김정은 정권은 현재 우리나라와의 관계를 교전국으로 규정하고 있다. 우리나라를 주적, 제 1의 적으로 보고 있다. 김정은정권은 반민족적, 반통일적 행태를 보이고 있는 것이다. 우리나라의 신안보전략과 대응 방안 우리나라의 신안보전략과 대응 방안1. 국가 안보 차원에서 적극적으로 대응2. 정부 차원에서 민간 전문가 그룹과 협업3. 외부로부터 들어오는 정보에 대한 감시체계 강화 허위조작정보유포란? 허위조작정보유포란?잘못된 정보를 고의적으로 퍼트리는 활동 인지전에서 가장 쉽게 쓰이는 것이 허위조작정보유포임. 인지전이란?적국의 개인이나 대중, 지휘부가 생각하는 방식 자체에 영향을 끼쳐서 아군에게 유리한 방식으로 의사결정을 내리게 만들고, 전쟁을 할 경우 아군에 유리한 비합리적인 의사결정을 내리게 하는 전술. 과거의 심리전과 비슷하지만 현재의 첨단화된 정보통신기술, 그리고 인공지능을 통해서 대규모의 메시지를 아주 빠르게 그리고 혹은 실시간으로 쇼셜미디어 공간을 통해서 적과 국제사회에 즉, 대규모 청중에게 발산할 수 있다는 점이 과거에 우리가 알았던 심리전과 다름. 싸우지 않고도 이기는 것이 인지전임. 허위정보(오정보): 고의성 없이 잘못 전달하게 되거나 공유하게 되는 정보 사람들이 주목하는 정보의 특징.. 전쟁의 패러다임 변화 전쟁의 패러다임 변화전쟁에서 재래식 무기와 지상군이 여전히 투입되고 있지만 전쟁의 패러다임은 변하고 있음.1. 전쟁 이전에 적국의 인터넷 사이트 해킹 등 사이버 영향력 공작(사이버 전쟁)2. 사이버 공격, 가짜뉴스 정보 등 하이브리드전. 드론을 통한 공습 같은 하이브리드 전쟁의 시대가 인공지능 기술이 탑재되어서 이미 시작됨. 이전 1 ··· 4 5 6 7 8 9 10 ··· 48 다음